포식박테리아란?
포식박테리아(Bdellovibrio and Like Organisms)는 광범위한 그람음성균을 포식·제거하는 박테리아로 자연계에 널리 존재. 다수의 동물실험을 통해 무해성과 치료효과가 입증되어 차세대 항생물질로 주목
포식박테리아가 각광받는 이유?
이유는 간단하다 포식박테리아를 기반으로하여 항생제 내성을 극복할수있기때문이다.
원리에 대해서 알기전에 일단 항생제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항생제는 미생물이 생성한 물질로,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인체에 침입한 세균의 감염을 치료한다. 간단히 말해 항생제는 인체에 침입한 세균에 작용하여 감염 치료한다.
- 항생제의 부작용
항생제 복용 시, 발진, 두드러기 또는 미열 등과 같은 가벼운 증상부터 갑작스런 호흡곤란 및 쇼크 등과 같은 비교적 심각한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다. 과민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전문가에게 알려 적절한 조치를 받아야 한다. - 항생제의 내성
병원균은 항생제에 노출될수록 내성을 키워나가며, 내성 유전자를 주변으로 확산시켜 내성균을 늘린다.
⇨ 항생제 투여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치료효과는 계속 저감
포식박테리아의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해 원리
병원균 세포막을 뚫고 들어가 내부를 먹어치우며(소화를 통해 DNA 파괴) 성장·증식하고, 다시 세포막을 뚫고 나오는 과정을 반복하며 병원균 궤멸
- 피포식균(병원균)의 세포막을 인식하면
- 다량의 효소(세포벽, 단백질 분해제 등)를 분비하여 피포식균의 세포막을 뚫고 침입해 20분 안에 피포식균의 생활성(viability)를 제거
- 피포식균의 세포 기질을 인식하면서 다량의 효소(단백질, DNA, RNA, 지질, 다당류 분해제 등)를 분비하여 피포식균의 구성체계 대다수를 분해하여 영양성분으로 흡수
- 성장을 마치면 세포벽을 최종적으로 부수고 여러 마리로 나옴
※ 포식박테리아의 모습(왼쪽 위),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균를 포식하는 포식박테리아(왼쪽 아래), 포식박테리아의 생활사(오른쪽)
반응형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디푸드 정의 (0) | 2023.08.16 |
---|---|
무선 시스템에 고주파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2.09.23 |
무선이라는 시스템을 어떻게 만드는 걸까? (0) | 2022.09.23 |
RF란 무엇인가? (0) | 2022.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