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관련

(5)
주식 기초 용어 정리 주식을 처음접하는 주린이들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주식 기초 용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더보기 1. 시가총액 (주가) X (주식 수) = (시가총액) 주가에 상장 주식 수를 곱한 값으로 해당 기업이 발행한 모든 주식 가격의 총합을 의미합니다. 기업의 총 가치를 나타냅니다. 삼성전자의 오늘 주가는 55,800원이고 LG생활건강은 581,000원으로 LG생활건강 주가가 훨씬 비쌉니다. 흔히 알기로 삼성전자가 더 큰 기업인데 왜 주가는 더 쌀까요? 이유는 여기서 알수있습니다. 위에 식을 응용해보면 (시가총액) ÷ (주가) = (주식 수) 시가총액이 더 큰 삼성전자가 왜 LG생활건강보다 주가가 더 비싼가하면 상장 주식 수가 삼성전자가 훨씬 많기 때문입니다. 더보기 2. 주당순이익(EPS) EPS는 Earnings..
복리의 마법2 15억 자산을 모아 은퇴하기 위해 제가 수행하고 있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5억을 모으면 무조건 은퇴를 한다!' 이런 개념은 아니고 일정 목표를 정해두고 적어도 이 정도의 돈은 모으겠다는 의지라고 봐주시면 됩니다. 앞에서 설명한 복리의 마법을 최대한 이용할 것이고 저의 수입 중 150만원은 월마다 투입한다.라는 것이 기본 골자입니다. 2022.09.26 - [주식관련] - 복리의 마법 복리의 마법 복리의 마법을 체감하려면 수익률과 기간이 중요합니다. 원금에 두배가 되는 시점(= 72 ÷ 수익률) (연)수익률에 따른 원금이 2배가 되는 시점 계산표 수익률(%) 원금 2배(년) 16% 4.5 12% 6 6% 12 4% 18 2% 3 soohozip.tistory.com 복리 계산기를 통해 ..
복리의 마법 복리의 마법을 체감하려면 수익률과 기간이 중요합니다. 원금에 두배가 되는 시점(= 72 ÷ 수익률) (연)수익률에 따른 원금이 2배가 되는 시점 계산표 수익률(%) 원금 2배(년) 16% 4.5 12% 6 6% 12 4% 18 2% 36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수익률이 12%라면 6년, 4%라면 6년 더 늦은 18년은 돼야 한다. 4%의 절반인 2%라면 기간은 두 배인 36년이 필요하고 1%라면 72년은 있어야 한다. 결국 투자에 있어서 장기투자로 투자기간이 길어진다고 하여 눈에 띄는 복리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게 아닙니다. 복리의 마법이 있어서 단순히 수익률이 낮은 상품에 오랜 기간 둔다고 복리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게 아니란 걸 알아야 합니다. 복리의 마법을 체감하기 위해선 어느정도 이상의 수익률과..
매수 매도의 이해 주린이가 주식을 주문할 때 혼란을 겪는 부분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매수와 매도! 알고 보면 별거 아닌 매수와 매도에 대해 간단하게 개념을 잡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플은 나무증권 어플을 사용하였습니다.) 간단히 말해 매수 = 구매 매도 = 판매 입니다. 매도와 매수를 위해 호가창을 살펴보겠습니다. 대표적인 주식 삼성전자우입니다. [국내 주식주문] - [매수] 창을 들어가 줍니다. 호가가 49,600원부터 50원 단위로 50,100원까지 보입니다. 호가 옆에는 잔량이 보이고요. 호가란 쉽게 말해 주식의 가격 범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래 표시한 부분은 매도자(파는 사람)가 팔고 싶은 가격입니다. 예를 들면 당근 마켓에 판매하고자 하는 물건을 올릴때 내가 판매하고자하는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호가창에..
[국내 ETF]나스닥100 수수료 비교 저는 미래를 위해 국내 ETF 중 미국나스닥100을 차곡차곡 모으고 있습니다. 나스닥 100을 모으는 이유는 미국주식은 꾸준히 우상향 할 거라는 믿음에 있습니다. 나스닥 종합 10년 차트르보면 물론 지금은 고점에서 내려온 상태이나 10년 전 가격에 비하면 4배 정도 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참조 : 복리의 마법이라 해서 72를 수익률로 나누면 2배가 되는 기간을 알 수 있습니다. 예) 1년 수익률 6%라면 원금이 두배가 되는 기간은 72 ÷ 6 = 12(년) 미국에 상장된 ETF도 있으나 해외주식은 수익이 250만 원을 넘어가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하기 때문에 국내 ETF를 차곡차곡 모으고 있습니다. 국내 ETF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저는 'KINDEX미국나스닥100'을 모으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