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광전자 소자 - 광다이오드 : 기본적으로, 입사하는 빛에 따라 출력 전류를 변화시키는 동작을 한다. 역방향 전압이 가해진 상태에서 다이오드에 특정 세기와 특정 에너지 이상을 지닌 빛이 가해지면 전자-정공 짝(electron-hole pair)이 다이오드 접합부에서 형성되어 전류가 흐른다. 이 때의 전류를 광전류(photocurrent)라고 한다. - 레이저 다이오드 : 일반적인 LED에서는 다른 위상을 가진 많은 빛들이 나오는데 레이저 다이오드는 모든 빛이 서로 동일한 위상으로 나오며 이 광파를 강화시키는 거울공진기를 사용하여 강하고 집속되고 순수한, 좁은 광빔이 나온다. - 섬유-광 케이블 : 구리 케이블이 자유전자의 이동이라면 섬유-광 케이블은 플라스틱의 가늘고 유연한 실에 광빔을 전송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보낼.. 제너 다이오드 제너 다이오드 : 정전압을 얻을 목적으로 항복 전압에서 동작되도록 설계된 다이오드이다. 전기 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정전압원을 구성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브리지정류기 브리지 정류기란? 브리지 형태로 구성된 정류기. 정류 소자를 브리지의 각 변에 조립하여 전파를 정류하게 한 정류기 회로이다. 이상적인 반파 : Vout = Vin 제2근사해석 반파 : Vout = Vin – 1.4V 전파정류기 전파정류기 : 교류의 한 주기 전체를 직류로 만드는 장치 이상적인 반파 : Vout = 0.5Vin 제2근사해석 반파 : Vout = 0.5Vin - 0.7V 변압기의 권선비 변압기 : 변압기는 상호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더 높이거나 낮추는 데 사용되는 기기 반파정류기 반파정류기 : 교류에서 플러스에 해당하는 주기의 파동만 정류하여 직류를 얻는 장치 VD0는 단순히 전압강하의 크기(약0.7V) 이상적인 반파 : Vout = Vin 제2근사해석 반파 : Vout = Vin - 0.7V 역방향 바이어스 직류전원을 순방향에 반대로 연결하면 역방향 바이어스가 된다. 공핍층 확대 : 전원의 음의 단자가 정공을 끌어당기고 전원의 양의 단자가 자유전자를 끌어당긴다. 이 때문에 정공과 자유전자는 접합을 떠나기 때문에 공핍층은 점점 확대된다. 바이어스되지 않은 다이오드 PN접합(접합다이오드) : n측 자유전자가 p영역으로 가면 정공과 결합하여 가전자가 되고 전자가 n쪽을 떠나 남아있는 5가 원자는 양이온이 된다. 바이어스되지 않은 다이오드는 pn접합에 공핍층이 있다. 공핍층에서 이온은 전위장벽을 만든다. 실온에서 실리콘 다이오의 전위장벽은 약 0.7V (게르마늄은 약 0.3V)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