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관련

매수 매도의 이해

주린이가 주식을 주문할 때 혼란을 겪는 부분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매수와 매도!
알고 보면 별거 아닌 매수와 매도에 대해 간단하게 개념을 잡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플은 나무증권 어플을 사용하였습니다.)

간단히 말해
매수 = 구매
매도 = 판매
입니다.

매도와 매수를 위해 호가창을 살펴보겠습니다.
대표적인 주식 삼성전자우입니다.
[국내 주식주문] - [매수] 창을 들어가 줍니다.
호가가 49,600원부터 50원 단위로 50,100원까지 보입니다.
호가 옆에는 잔량이 보이고요.

호가란 쉽게 말해 주식의 가격 범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래 표시한 부분은 매도자(파는 사람)가 팔고 싶은 가격입니다.
예를 들면 당근 마켓에 판매하고자 하는 물건을 올릴때
내가 판매하고자하는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49,850원에 팔고자 올린매물이 7,395개이고, 49,900원에 팔고자하는 매물은 8,147개 인것입니다.

 

호가창에서 아래 표시한 부분은 매수자(사는 사람)가 사고 싶은 가격입니다.
위와 같이 당근 마켓으로 예를 들면 사고하는 물건이 필요할 때
「삽니다」로 올리는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래 같은 경우 49,800원에 사고자 하는 매물이 32,578개이고
49,750원에 사고 자하는 매물은 8,147개 인 것입니다.

 

아래 표시한 가격은 현재 거래가 된(되고 있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당근 마켓으로 치면 최근에 「거래 완료」된 매물의 가격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수요와 공급곡선과 같이 팔고자 하는 가격과 사고 자하는 가격이 만나는
지점에서 거래가 이루어지고 거래가 이루어진 가격이 현재 가격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매수를 하기 위해서는 내가 사고자 하는 가격을 
결정하여 수량과 가격을 입력한 뒤 매수주문을 누르면 됩니다.

'바로 매수하고 싶다'라고 한다면 49,850원의 가격을 
선택한 뒤 잔량 범위 내에서 주식을 구매하면 됩니다.

'주식이 어느 정도 떨어질 것 같은데'라고 생각이 들면
내가 원하는 매수 가격을 수량과 같이 입력하여 매수주문을 누릅니다.
(이 경우 내가 원하는 가격에 매도하고자 하는 잔량이
나올 때까지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매도를 하는 방법도 매수를 하는 방법과 유사합니다.
[국내 주식주문] - [매도] 창에 들어가 줍니다.
내가 사고 자하는 수량과 가격을 입력한 뒤 매도주문을 누르면 됩니다.

매도도 마찬가지로 바로 사고자 한다면 49,850원에 매도주문을
넣으면 바로 구매가 가능합니다.

 

반응형

'주식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기초 용어 정리  (0) 2022.10.17
복리의 마법2  (2) 2022.09.26
복리의 마법  (0) 2022.09.26
[국내 ETF]나스닥100 수수료 비교  (2) 2022.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