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글 Hwp

(30)
[한글] 되돌리기, 다시 실행 기능 이용하기 한글에서 되돌리기는 다른 일반적인 프로그램들과 동일한 [Ctrl] + [z]입니다. 하지만 조금 다른 점은 다시 실행하기는 [Ctrl] + [y]가 아닌 [Ctrl] +[Shift] + [z]입니다. 오늘은 예시를 통해 '되돌리기' 기능과 '다시 실행'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되돌리기 위해선 어느정도 작업한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표를 만들고 색을 채워보았습니다. '되돌리기'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은 단축키 [Ctrl] + [z]를 사용하거나 메뉴바에서 [편집] - [되돌리기]를 눌러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뉴바에서 되돌리기를 사용할 시에는 한 번에 내가 원하는 곳까지 되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시 실행'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은 단축키 [Ctrl] +[Shift] + [z]를..
[한글] 그림파일 회전 기능이 비활성 상태일때 이전엔 그림파일을 회전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한글] 그림 회전 시키는 방법 하지만 가끔씩 아래와 같이 회전 기능 자체가 비활성화될 때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그림파일을 선택한 뒤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 [개체 속성(P)]를 눌러줍니다. (또는 그림파일을 마우스로 더블클릭해줍니다.) 개체 속성에서 [위치] 메뉴에서 '글자처럼 취급'이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해 주시고 체크를 풀어줍니다. 체크박스를 풀어준 뒤 [설정]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이번엔 회전 메뉴가 다시 활성화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글] 서식 복사(글자, 문단, 셀 모양) 한글을 사용하면서 개인적으로 가장 유용한 기능이라고 생각하는 서식 복사(모양 복사)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표가 있습니다. 이것과 유사한 서식의 표를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복사해온 표를 위의 표와 글꼴과 크기를 맞추고 표의 색을 맞추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글자 모양을 복사하고 싶은 글자 사이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단축키 [Alt] + [c]를 눌러줍니다. '모양 복사'라는 창이 뜹니다. 메뉴 중 글자 모양과 문단 모양 둘 다 복사를 선택해주고 복사를 눌러줍니다. 글자 모양을 바꿀 곳을 블록 처리해주고 단축키 [Alt] + [v]를 눌러줍니다. 서식 복사(모양 복사)가 되면 위의 표와 같은 글자 모양과 밑줄 등 서식들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번에는 화살표 한 부..
[한글] 위첨자와 아래첨자 입력하기 ex)㎠ 오늘은 ㎠과 같은 위 첨자와 위 첨자를 넣을 수 있으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는 아래 첨자를 넣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메뉴에서 [수식] - [수식 편집기(E)]를 눌러줍니다. 단축키는 [Ctrl] + [N]+ [M] 입니다. [수식 편집기(E)]를 눌러주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일단은 위 첨자부터 해보겠습니다. 창에서 표시한 대로 눌러줍니다. 위첨자 아이콘을 눌러주면 아래 표시한 부분과 같이 {}^{}라는 것이 생깁니다. 그러면 표시한 부분과 같이 {}^{} 안에 글자를 넣어줍니다. {m}^{2}그러면 ㎡이 완성됩니다. 화살표 시한 부분의 아이콘을 눌러 적용시킵니다. 짜잔 아래와 같이 ㎡이 완성되었습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 ㎡등 다양한 위 첨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아래 ..
[한글] 간단한 계산식 적용 한글에서도 간단한 수식을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능 자체가 좀 불편하고 빈약(?)하기 때문에 잘 사용하진 않습니다만 그 방법만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표와같이 당근을 2개 샀을 때 합계를 알고 싶으면 블록 계산식을 통한 블록 곱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편하나 간단한 수식 적용을 알아보기 위해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제가 만든 계산식을 적용해보겠습니다. 계산식을 적용하기 위해선 칸의 위치를 알아야 합니다. 칸에 커서를 놓으면 오른쪽 아래 부분에 위치가 표시됩니다. 3000의 위치는 B2입니다. 3000 아래 2의 위치는 B3가 됩니다. (당근의 위치는 B1, 2500의 위치를 C2가 됩니다) 체크 표시한 칸에 커서를 놓고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 [계산식]을 눌러줍니다. 단축키는 [Ctrl] + [N]..
[한글] 표에 대각선 넣는 방법 표를 그리다 보면 간에 대각선을 넣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럼 대각선을 넣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표가 필요하기 때문에 9칸짜리 표를 만들었습니다. 아래 쓰인 순서대로 ①번을 한번 눌러줍니다. (화살표시된 칸에 대각선을 넣을 것입니다.) 그런 다음 메뉴에서 [테두리]를 눌러주시고 ③번의 [대각선 하향 테두리]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표에 대각선 하향 대각선을 만들 수 있습니다. 대각선 하향 테두리 옆에 [대각선 상향 테두리를] 눌러주면 상향 대각선이 생깁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이 대각선을 만들 칸을 블록 처리해준 뒤 마우스 오르쪽 버튼을 눌러 [셀 테두리/배경(B)] - [각 셀마다 적용(E)]를 눌러줍니다. [대각선]으로 들어가서 아래 표시한 부분을 보면 여러가지 대각선을 ..
[한글] 간단한 합(더하기) 적용 한글에도 간단한 덧셈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간단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아래와 같이 오늘 장보기한 것의 가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합계를 정리하려면 계산을 해야겠죠? 하지만 한글의 기본 기능을 이용하면 간단히 합을 구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가격들을 블록 표시해줍니다. 그런 다음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 [블록 계산식(K)] - [블록 합계(S)]를 눌러줍니다. 단축키는 [Ctrl] + [Shift] + S입니다. 그렇게 해주면 아래와 같이 블록처리 한 부분의 합계를 자동으로 채워줍니다. 평균값과 곱 값도 적용할 수 있으니 아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글] 그림 용량 줄이기 한글에서 용량이 큰 사진을 많이 넣고 문서작업을 하다 보면 한글 프로그램 자체가 버벅버벅 거리는 것을 느끼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럴 때 한글 안에 있는 기능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그림파일들의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일단 메뉴에서 [편집] - [그림] - [그림(I)]를 선택해줍니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고 불러올 사진 파일을 선택해줍니다. 저는 우리 집 강아지 뽀뽀의 사진을 불러오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사진이 불러와지고 메뉴 오른쪽 위에 보시면 그림과 관련된 아이콘 메뉴들이 새롭게 생깁니다. 화살표 시한 아이콘을 누르고 '용량 줄이기 설정(O)'를 선택해줍니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선택사항] - [삽입한 그림 크기에 맞춰 줄이기]를 선택해줍니다. 설정하고 싶은 해상도가 따로 있다면 세 번째..

반응형